[취재수첩] 여성가족부, 과연 폐지가 답인가?
[취재수첩] 여성가족부, 과연 폐지가 답인가?
  • 구미라 기자
  • 승인 2021.07.19 14:1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엔 등록 194개국 중 97개국에 성평등 정책 추진 부처 따로 있어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여가부와 (사)한국편의점산업협회(회장 최경호) 간의 ‘위기청소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사진=여성가족부 제공)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여가부와 (사)한국편의점산업협회(회장 최경호) 간의 ‘위기청소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사진=여성가족부 제공)

[베이비타임즈=구미라 기자] 최근 정치권에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대권 주자인 하태경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내놓은 ‘여가부 폐지론’에 대해 갑론을박이 뜨거운 상황이다. 이 같은 논란 속에서 국민 10명 중 절반 가까이는 여성가족부를 폐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여론조사업체가 지난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16명을 대상으로 여성가족부 폐지에 관한 찬반을 물은 결과, ‘동의한다’는 응답은 48%로 나타났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41%였다. 모름·무응답은 11%다.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고 응답한 남성은 61%, 여성은 35%로 각각 나타났다. 반면 여가부 폐지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여성이 51%, 남성은 32%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30대에서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는 응답이 각각 59%로 가장 높았다. 반면 40대·50대에서는 '동의하지 않는다'가 각각 과반인 51%로 나타나며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 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고하면 된다.

그렇다면 과연 여성가족부는 폐지해야 할 부서일까. 아니면 존속해야 하는 부서일까. 이 기사를 읽고 있는 당신은 어느 쪽일까. 

이에 대해 여가부의 정영애 장관은 지난 14일 여가부 출입기자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서 공정사회 실현은 여성과 남성, 어느 한쪽도 차별받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여성가족부 존재의 출발점이자 나아가야 할 목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가부가 행정부처로서 자리매김했기에 그동안 여성 인권 향상과 사회 전반의 성평등 가치 확산이라는 성과를 어느 정도 거둘 수 있었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정 장관은 정치권에서 제기된 '여가부 폐지론'에 대해 "성평등 가치를 확산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폭력문제를 전담해 해결해 나갈 부처는 반드시 필요하고 그 기능은 더욱 확대돼야 한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기자 입장도 마찬가지다. 최근 여가부 들여다보기라는 기획기사를 쓰면서 여성가족부가 한부모가족, 위기의 청소년, 다문화 가족 등 사회 요소 요소에서 소외되고 도움이 필요한 곳에 손길을 내밀며 열심히 일하고 있는 구체적인 현장을 취재한 바 있기때문이다.  

정영애 장관 역시 호주제 폐지,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구축, 한부모·다문화가족과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등을 언급하며 "사회적 약자의 편에서 정책을 추진해왔다"며 그동안의 업적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또한 여가부를 둘러싼 국민들의 우려와 지적이 많지만 여성과 남성, 어느 한쪽도 차별받지 않는 공정한 사회 실현은 여성가족부의 존재의 출발점이자 나아가야 할 목표라고 강조했다.  

국제적으로도 2020년 기준 유엔 위민(UN WOMEN)에 등록된 194개 국가 중 97개 국가에서 여성 또는 성평등 정책을 추진하는 장관급 부처 또는 기구가 설치돼 있다는 것도 참고할 만하다.

남성과 여성이 상호 존중하고 함께 발전해가는 관계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일 여성가족부가 아니면 어느 부처에서 할 것인가? 명실상부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소외되거나 배제되는 집단 없이 사회 구성원 모두가 각자의 삶을 누리고, 사회 발전의 성과를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는 여가부 장관의 말이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