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학교·어린이집 열화상 카메라 다양한 지원책 필요
유치원·학교·어린이집 열화상 카메라 다양한 지원책 필요
  • 지태섭 기자
  • 승인 2020.04.28 19: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시도교육청별·지자체별 지원 천차만별…지원 없는 곳도
전문가 “고가장비 구매 대신 렌탈 등 다른 해결방안 찾아야”
교육부의 유·초·중·고 열화상카메라 설치비 예비비 지출의결 포스터 (사진 = 교육부 제공)
교육부의 유·초·중·고 열화상카메라 설치비 예비비 지출 의결 포스터 (사진 = 교육부 제공)

[베이비타임즈=지태섭 기자]  교육당국과 지방자치단체가 온라인수업 이후 학생들의 본격적인 등교에 대비해 관내 교육 시설에 코로나19 방역물품을 지원하고 있으나 지원 대상과 지원비가 제각각이어서 아이들이 안전을 걱정하는 학부모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특히 정부의 적은 예산 지원으로 인해 소외 받는 중소 규모의 유치원(어린이집 포함) 및 학교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 설치 등의 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열화상 카메라 한 대당 설치 비용이 큰 만큼 여건이 어려운 교육 시설 등에서 자체 예산을 가지고 설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구매를 고집하기보다는 임대를 통한 지원 등의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 렌탈 등의 방법을 통해 초기 구매 비용을 줄이고 렌탈비의 일부를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을 검토해 일선의 모든  교육시설이 공평하게 열화상 카메라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시설 규모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 설치가 차별 지원되자 보다 못한 일부 자치단체들이 긴급하게 지원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안산시는 2억4000만원을 들여 학생 수가 적어 지원을 받지 못하는 관내 초·중·고·특수학교 30개교에 열화상 카메라를 지원한다.

성남, 안산, 과천 등 경기도 내 7개 지자체도 600명 미만 학교에 열화상 카메라를 일괄 지원한다. 포천시는 600명 미만 학교(23개교)와 100명 미만 학교(23개교)에 각각 열화상 카메라 23대와 비접촉 체온계 119개를 지급할 계획이다.

또한 평택시와 군포시, 공주시 등도 관내 지역에 열화상 카메라를 일괄 지원한다. 

평택시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지원하지 않는 초등학교 37개교,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7교, 특수학교 2개교에 대해 등교 개학 전까지 설치를 마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관내 학교 중 학생 수 50명 미만의 소규모 학교 3개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됐다.

평택시의 경우 지역 내 112개 전체 학교 중 학생 수가 600명 이상인 51개교는 경기도교육청 지원으로 열화상 카메라가 설치됐다.

군포시는 관내 47개 초·중·고등학교 중 23개 학교에 열화상 카메라를 지원한다. 열화상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16개 학교에 한 대씩, 그리고 학생 수 900명 이상의 7개 학교에 추가로 한 대씩을 지원한다. 지원 품목은 열화상 카메라와 모니터 등 장비 일체이며, 3개월간 지원된다.

공주시는 학생 수 100명 이상 300명 미만 관내 학교 11곳에 열화상 카메라를 지원키로 하고, 학생들이 등교하기 전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학생 수 300명 이상 학교 및 특수학교 13개교는 충남도교육청에서 열화상 카메라를 지원, 설치한다.

시흥시는 관내 초·중·고 중 열화상 카메라 지원을 받은 55곳 외에 지원에서 빠진 32곳의 설치 예산을 직접 지원하기로 했다. 양평군도 지원을 받은 5개 학교 외에 대상에서 제외된 나머지 42개교에 2억8000만원을 투입해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지자체들은 재정 상태를 이유로 지원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원 계획을 세운 지자체들도 100명 미만의 적은 인원이 있는 교육시설에 대해서는 체온계 등으로 열 체크를 하는 방법을 통해서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 수가 부족해 지원을 받지 못하는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학교가 동등한 방역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와 모니터 등은 구입 시에 큰 비용이 발생한다. 일선 소규모 어린이집 및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입장에서는 1년 내내 사용하지 않으면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에 큰 비용을 들이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학생 수를 기준으로 카메라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학부모들의 의견도 나오고 있다.

오히려 설치 시 드는 큰 비용 대신에 렌탈 등의 방안을 강구해 학생 수가 적은 학교 및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도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모든 교육시설과 보육시설에 열화상 카메라 설치를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교육부는 초·중·고 학생들의 등교개학 일정과 방법을 5월 초에 발표한다. 짧은 기간에 모든 교육 시설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기는 어렵겠지만 최대한 빠른 설치를 통해 모든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뛰놀고 공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당국의 지원에서 제외된 유치원 및 초·중·고, 어린이집은 담임 교사 또는 4~6명의 교사가 조를 짜 매일 교실·교문 앞에서 일일이 학생들의 발열 체크를 해야 하는 실정이다.

중소 규모 유치원 및 초·중·고 학교들은 상당수가 도농복합지역이나 중소도시 등에 위치한데다 600명 이상 학교에 비해 지원 예산이나 인력 등에서 오히려 여건이 더 열악하다는 점에서 학생 건강권에 대한 비교육적 차별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