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소독제 없는 공공 수유실, 깨끗한 공기는 랜덤?
손 소독제 없는 공공 수유실, 깨끗한 공기는 랜덤?
  • 김은교 기자
  • 승인 2020.02.11 15:3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종 코로나·미세먼지 따른 공기정화시설 방침 및 관리 미흡
전국 수유시설, 과거 대비 주변환경·청소 등 위생상태 개선돼

[베이비타임즈=김은교 기자] “코로나 가면 미세먼지 올텐데...... 바이러스·미세먼지 속 공공 수유시설, 과연 안전할까?”

지난 22일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가 전국 수유시설 실태 조사 통계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지난해 6월부터 10월까지 인구보건복지협회(협회장 김창순)가 전국 2841개 수유시설을 대상으로 방문 점검을 실시한 자료다. 그리고 그 결과, 전국의 공공 수유시설 관리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전체의 98.6%인 2800개소가 1일 1회 이상 수유시설을 관리하고 있었으며, 1일 2회 이상 관리하고 있다는 곳도 87.3%, 2480개소나 됐다. 또 수유시설의 ‘조도·온도·습도·소음·물품·청결상태·바닥 오염도’ 역시 관련 기준에 대부분 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렇듯 개선된 시설 관리에도 불구하고 우려스러운 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인류에게 닥친 치명적인 사회·환경 재난이 건강과 생명을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으나, 이것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는 깊은 고민이 필요한 듯 보이기 때문이다.

지금 대한민국은 ‘코로나’ 그리고 ‘미세먼지’ 포비아(Phobia)에 몸살을 앓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 발생 국가인 중국의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0일 0시 기준, 중국 내 신종 코로나 누적 확진자 수는 4만 171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또한 908명에 달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철저한 검역 및 방역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종 코로나 확진자 수는 계속 증가 추세다. 지난 11일 기준 총 28명의 국내 확진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뿐만이 아니다. 신종 코로나 이후에는 미세먼지가 또 다시 사회 문제로 대두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번 수유실 점검은 그 시사점이 매우 크다. 해당 조사를 통해 아기의 건강과 직결되는 수유실 내 손 소독제 비치율을 점검한 결과, 해당 비율이 전체의 절반 수준인 51.2% 즉 1454개소에 그친 탓이다.

덧붙여 테이블 설치율 역시 47.5%, 1349개소인 것으로 분석됐다. 다른 점검 항목들에 비해 미비한 관리 수준이다.

수유시설 관리 표준 가이드라인 표지. (출처_인구보건복지협회 홈페이지 내 '수유시설 검색')
수유시설 관리 표준 가이드라인. (출처_인구보건복지협회 사이트 내 '수유시설 검색' 페이지)

지난해 6월 보건복지부와 인구보건복지협회가 함께 제작한 ‘수유시설 관리 표준 가이드라인(이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손 소독제와 테이블은 수유시설 설치 시 반드시 구비해야 하는 필수 물품으로 분류된다.

이는 결국, 가이드라인이 지정하고 있는 공통 필수 물품 총 3가지(소파·테이블·손 소독제) 중 2가지를 제대로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과도 같다. 영유아 이용시설 관리에 대한 안일함이 여실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수유시설 용도에 따른 필요 및 권장 물품. (출처=수유시설 관리 표준 가이드라인)
수유시설 용도에 따른 필요 및 권장 물품. (출처=수유시설 관리 표준 가이드라인)

그리고 또 한 가지. 현재의 가이드라인은 실내 먼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유실을 자주 환기해줘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단, 자연 환기가 어려울 경우 기계식 설비 또는 공기 정화 식물을 활용해 쾌적한 공기질 확보 노력을 해야 한다는 문구도 덧붙이고 있다.

수유실의 경우 장소에 따라 지하, 심지어는 화장실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깨끗한 공기 관리 및 유지는 무척 중요한 부분 중 하나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관리는 아직 미흡한 듯 싶다.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알러지 유발 물질 및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가이드라인 상 ‘필수’ 또는 ‘권장 물품’ 이 아닌 ‘기타 물품’으로 분류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현재 수유실별 공기 정화 문제는 자체 방침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전국 수유시설 실태조사는 지난 2017년 당시 지적됐던 수유실 내 위생 문제에 비하면 상당 부분 개선이 이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언제나 편리하고 안전한 공공시설로서의 적합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더 세심한 고민, 더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듯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