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 먹거리, 과연 믿을 만한가?
유기농 먹거리, 과연 믿을 만한가?
  • 허경태
  • 승인 2014.11.05 14: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마다 늘어나는 유기농 식품 시장, 맹목적인 신뢰는 금물, 행정적인 제도 보완 필요




먹거리가 부족했던 과거와는 달리 풍부한 먹거리를 가진 현대 사회가 또 다른 고민에 전전긍긍 하고 있다. 잊을만 하면 튀어 나오는 먹거리의 안전 문제는 아무리 사소한 문제라도 국민들에게 정서불안까지 안겨주는 큰 사회적 이슈로 다가서고 있다.



최근에는 커피 메이커로 국민 사랑을 받아오던 한 기업이 대장균에 노출된 시리얼을 재 가공해 시중 유통 시키다가 내부 고발로 사건화가 되었고, 아이들의 먹거리를 생산 유통시켜온 유서깊은 한 제과업체는 자사 유기농 제품에서 허용 기준치의 280배나 초과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어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



이밖에도 지난달 12일 국회 국정감사에선 '유기농 분유' 문제가 주목을 받았다. 시중에 유통되는 유기농 분유 원료의 55%가 수입 제품이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현재 건전한 생산과 유통구조를 고수하고 있는 다른 정직한 먹거리마저 도매급으로 불신의 눈총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먹거리 안전문제에서 경계해야 할 유기농 제품이란 표 딱지는 주부들의 맹목적인 신뢰 속에서 매년 비약적인 판매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마냥 안전한 먹거리만은 아니라는 사실에 국민들이 주목해야할 사안이다.



◇ 유기농 식품 신뢰할 수 있나?



현재 유기농 먹거리 시장은 다른 시장에 비해 비약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먹거리 시장의 대세 임을 증명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를 보면 유기가공식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20%대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1년 3320억 원에서 2020년이 되면 6817억 원까지 늘어날 전망으로, 10가구 중 3~4가구(37.6%)가 유기농 제품을 구매하고 있다.



이는 부실한 먹거리 안전문제에서 특히 아이들에게 안전한 식품을 먹이겠다는 우리나라 특유의 육아 환경이 유기농 제품시장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기농 수입 시장도 팽창하고 있다. 식약처에 따르면 2007년 4035만 달러(한화 424억 원)에서 2012년 5986만 달러(한화 628억 원) 규모로, 5년새 50% 정도 수입 유기농식품이 늘었으며, 올해인 2014년에는 그 비중이 일반 수입식품보다도 높다는 이야기가 시장 주변에서 떠돌 정도로 유기농 식품의 수입 또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유기농 제품은 주로 어디로 소비되는 것일까?



국내 대형마트의 유아용품 코너를 방문하면, 아이들의 먹거리 제품코너에서 '유기농'이란 글씨가 크게 강조되어 있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유기농이 아니면 팔리지 않을 정도로 유아용 식품 시장에서 유기농이란 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저출산의 여파로 한.두아이 만을 출산하는 엄마들의 집중된 모성애를 상업화에 접목시킨 대표적인 케이스로 보여 지는 것이다.



특히 여러 제품 중 유아용 주스는 식약처가 발표한 5대 유기농 수입 품목(2012년 기준)에는 명시되어 있을 정도로 수입에 절대량을 의존하고 있는 제품이다.



하지만 터키 등지에서 비행기로 혹은 배로 한국까지 이송해오는 유기농 쥬스가 안전한 먹거리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든다.



운송 도중에 쉽게 상할 수 있는 식품이라는 특성상 냉동 등 여러 가지 방법 등으로 운송해오고 있겠지만, 과정상 보존제 등 각종 식품첨가물을 썼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분유도 마찬가지다. 수입 원료를 썼어도 유기농이라는 이유로 2.5배 비싸다. 같은 회사에서 나온 분유가 같은 1단계(유아 6개월 전) 기준으로 3만 5900원(800g)이다. 일반 제품(750g)은 1만 5400원이다.



일반 분유 제품 원재료는 탈염유청분말(수입), 혼합식물성유지 대두유(수입), 탈지유(국산) 등이다.



유기농 제품은 유기농탈염유청분말(독일산), 유기농혼합식물성유지 카놀라유(네덜란드산), 상하유기농원유(국산 15.1%) 등이다.



하지만 국회 국정감사 때도 지적됐지만 수입원료를 쓰는 분유의 경우 유기농 인증 권한은 한국에 있지 않고, 수입국에서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다른 인증 절차를 밟고 있지않다는 맹점이 있다.



◇ 정부와 업계가 보완이 필수적!



그렇다면 이 같은 유기농 제품에 대한 보완책은 없을까? 물론 이상적인 방향은 정부와 업계의 철저한 인증과 생산과 유통과정에 대한 철저한 점검 및 자기 인증 방식, 그리고 이를 어겼을 시 가중 처벌이 있어야 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 한 일로 향후 단계별로 이같은 방식의 도입이 정부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여론이다.



또한 수입 원료에 대한 인증권을 한국정부와 업계가 가져와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밖에 식품첨가물에 대한 엄격한 통제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지며, 말썽을 빚은 업계에 대해서는 소비자
단체와 함께 국민들이 불매운동 등의 엄중한 방법을 동원해 차후로 더 이상의 먹거리를 가지고 장난치거나 눈속임 하는 사례가 발생했을 시에는 소비시장에 발을 붙이지 못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