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5년간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로드맵 발표
교육부, 5년간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로드맵 발표
  • 김정아 기자
  • 승인 2022.08.22 16:4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일 관계부처 국무회의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보고
고·전문대졸 16만명, 학사 71만명, 석·박사 이상 13만 양성
초·중등학교 정보교육 2배 이상 확대...코딩교육 필수화도
교육부 교육기획부장이 22일 국무회의에서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방안을  설망하고 있다. (사진=교육부 제공)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이 22일 국무회의에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보고하고 있다. (사진=교육부 제공)

[베이비타임즈=김정아 기자] 교육부가 국정과제 81번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원활하게 이행하기 위해 2026년까지 5년 동안 고·전문대졸 16만명, 학사 71만명, 석·박사 13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기로 했다.

또한 초‧중등 정보교육을 강화해 정보교과 수업시수를 2배 이상 확대하고, 학생 발달단계에 맞춰 코딩교육을 필수화하는 등 디지털 인재의 저변확대를 위해 초‧중등교육 단계부터 정보교육이 강화된다.

교육부를 비롯한 관계부처는 전 국민의 디지털교육 기회확대와 역량강화를 지원하고, 2026년까지 총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마련하고 22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종합방안에는 디지털 전문분야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디지털 인재양성을 목표로, 디지털 산업계에서 활약할 전문인재, 인문‧사회계열 등 각자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인재,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에 친숙한 인재 등 수준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책들이 담겼다.

디지털 기술의 빠른 성장과 반도체산업의 치열한 경쟁으로 디지털 인재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메타버스, 사이버보안 등 첨단산업에 신기술을 갖춘 인재의 수급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향후 5년간 디지털 분야 필요 인재는 2021년 정부 재정사업 9만9000명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약 73만8000명이다. 교육부는 디지털 산업 분야뿐 아니라 일반산업 및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디지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어 그 수요는 더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위해 대학규제 완화

고도화된 디지털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먼저 지난달 발표된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의 고등교육 규제개혁과제와 계약학과 관련 사항이 적용된다. 첨단분야학과 신·증설 및 대학원 정원기준 유연화, 학·석·박사 통합과정 및 계약정원제 도입 등이다.

교육부는 이미 지난 19일 '대학설립·운영규정' 개정안 입법 예고를 통해 대학이 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정원을 증원하는 경우, 교원확보율만 충족되면 학부의 학과 신·증설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또한 교육부는 ‘디지털 혁신공유대학’(~2026. 21개 분야 목표), ‘소프트웨어(SW)중심대학’ (2027. 100개교 목표), ‘신산업특화 전문대학’(~2026. 21개 분야 목표) 사업을 확대해 디지털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디지털 첨단분야 전공자를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4단계 두뇌한국21(Brain Korea21) 사업을 통해 신산업분야 신진연구인력을 육성하고, 인공지능,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사이버보안, 빅데이터 등 디지털분야 대학원도 확대해 연구중심 인재를 양성한다.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영재학급을 확대한다. 디지털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도 현 6개교에서 권역별 1~2개교로 늘린다. 또한 디지털분야 취업맞춤특기병을 확대해 병역 중 역량을 지속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교육부는 인문‧사회 등 다양한 전공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민간 연계 집중 연계 교육과정인 부트캠프를 내년부터 도입하고, 융복합능력 배양, 학사제도 유연화를 위한 대학 혁신을 지원하기로 했다.

부트캠프 참여 학생의 교육경로 예상. (자료=교육부 제공)

시도별 우수 전문대학을 직업전환교육기관(DX-academy)으로 지정·운영하고, 고경력 은퇴자 등을 디지털 전환 전문가로 육성해 다양한 산업분야 재직자 대상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훈련에 투입한다.

기업이 주도가 되는 다양한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도 지원한다. 자체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 기업을 ‘디지털 선도(리더스) 클럽’으로 인증해 인프라 지원, 정부 연구개발(R&D)사업 가점 등의 혜택을 부여할 계획이다.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정부는 대학 수준의 디지털 교양과정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대학의 자율적인 디지털 혁신(교양교육, 인공지능(AI) 튜터링 등)을 지원하고,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내 디지털 등 신기술 분야 강좌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SW)동아리 등 자발적 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특히, 병사 복무 중 자기개발과 전역 후 취·창업 지원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SW·AI) 온라인 교육을 제공한다.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에 의해 산업계가 추산하는 인력보다 많은 디지털 인재가 양성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료=교육부 제공)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의 기대효과. (자료=교육부 제공)

디지털 저변확대...‘디지털 배지’, ‘재능사다리’ 구축

교육부는 정보교육을 초등학교 34시간, 중학교 68시간 이상 편성해 수업시수를 확대한다. 정보선택과목 도입(초), 학교장 개설과목 확대(중‧고), 컴퓨터언어(코딩)교육 필수화(초‧중), 소프트웨어‧인공지능 융합교육 활성화를 통해 보편적 공교육 내에서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공지능(AI) 융합교육 중심고(~26. 180교), 방학 중(방과후) 디지털(SW‧AI) 캠프 지원, (가칭)온라인고교 등을 통한 공동교육과정 지원으로 지역과 학교의 범위를 넘어 학생들에게 디지털교육 기회를 다각도로 확대한다.

2024년부터 3년 주기로 성인 디지털역량 진단조사를 실시하고 문해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디지털 문제해결 센터를 통해 학생과 지역민에게 디지털 교육을 제공하고, 농어촌 초등 1800개교의 교육소외지역 학교에 디지털 튜터를 배치한다.

또한 정부는 디지털 교육·경험·자격 이력을 증명하는 ‘디지털배지’의 활용‧확산을 지원하고, 디지털 분야 전문인재로 체계적 성장을 지원하는 진로상담, 후속과정 우선선발권 등의 ‘재능사다리’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디지털교육의 저변확대를 위해 초중등과정에서부터 정책을 구성했다. (자료=교육부 제공)

디지털 교육체제로의 대전환 정책 실행

디지털 인재양성 과제들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정부는 디지털 교육체제로 대전환을 추진한다.

정보교과 시수 확대에 맞춰 정보교육 담당 교원을 배치하고, 대학에서 민간 전문가 등을 유치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며, 디지털분야 교수․강사 DB를 구축해 공유한다. 현직교사들, 비전공 대학교수들의 디지털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지원도 추진한다.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AI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을 제공하고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도 확대 개발하며 스마트스쿨 조성, 맞춤형 디지털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전 사회 분야에서 활약할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업, 민간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지속하고,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살아갈 모든 국민이 기초소양으로서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교육체제 내에서 디지털 친화적 인재를 적극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