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디지털 금융’ 시대...글로벌 중심지 되려면
이제는 ‘디지털 금융’ 시대...글로벌 중심지 되려면
  • 황예찬 기자
  • 승인 2022.06.16 15:4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런던·홍콩 등 전통적 금융 중심지 위상 바뀌어
디지털 환경에서 규제 혁신 등으로 입지 선점해야
주요 금융그룹 관계사들이 모인 여의도 금융가 일대. (사진=황예찬 기자)
주요 금융그룹 관계사들이 모인 여의도 금융가 일대. (사진=황예찬 기자)

[베이비타임즈=황예찬 기자] ‘세계 금융 중심지’라고 하면 보통 뉴욕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아시아권에서는 홍콩, 상하이 등이 꼽히기도 한다. 그렇다면 서울은 세계 금융을 주도하는 도시로서 어느 정도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까. 서울이 세계 금융 중심지가 되는 방안은 없는 것일까?

이러한 내용을 담은 토론회가 16일 은행회관에서 열렸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이날 ‘글로벌 디지털금융 중심지 가능성 및 추진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특히 금융연구원은 런던, 홍콩 등 세계 금융 중심지에서 균열이 생기고 있는 상황과 ‘디지털 전환’을 맞이한 금융산업 전체의 방향성 변화를 주목했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장은 “우리나라가 ‘세계 금융 중심지’를 하면서도 아직 이렇다 할만한 성과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과거와 달리 지금은 금융의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기 시작했다”고 운을 뗐다. 

이어 “수십, 수백 년 전통을 갖고 있던 런던과 홍콩 같은 기존의 금융 중심지에도 입지의 변화가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진=황예찬 기자)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진=황예찬 기자)

주제발표를 맡은 이병윤 금융연 선임연구위원도 같은 기조로 이야기를 이어갔다. 이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금융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전되는 중인데, 우리나라는 디지털금융 분야의 제도나 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상당히 앞서 있다”며 “제도적 기반이 잘 마련돼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다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또한 뉴욕과 런던, 홍콩 등 기존에 금융 중심지로 불리던 도시들의 위상이 바뀌고 있다고도 전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뉴욕에서는 높은 세금, 비싼 임대료 등으로 금융사들이 뉴욕을 떠나 플로리다 등으로 이동하는 ‘뉴욕 엑소더스’가 발생하고 있고, 런던에서도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후 많은 금융사가 유럽 대륙으로 옮기고 있다. 홍콩에서도 홍콩보안법이 통과되면서 글로벌 금융사들이 떠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전통적인 금융 중심지는 실물 경제가 뒷받침되고,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관련 법과 제도, 영어가 통용되는 생활환경 등 여러 점에서 우리가 밀리는 요인을 갖추고 있었는데 이처럼 상황이 바뀌었으니 기회를 잡아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 ‘규제자유특구’ 지정 어떨까...가상화폐, 아예 놓을 순 없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금융 중심지’가 될 기회를 어떻게 잡아야 할까. 전문가들은 규제 완화에 방점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이병윤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금융 중심지가 마련될 수 있는 ‘규제자유특구’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규제자유특구 안에 들어오는 사업자에 대해서 세제나 경영 컨설팅 등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는 특구를 만드는 것”이라며 “기존의 금융 중심지로 조성된 서울 여의도나 부산 문현지구에 추진해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언급하며 “이를 글로벌 디지털금융 테스트베드로 육성하는 것은 어떨까 한다”고 전했다. 이 연구위원은 “상대 국가에서 샌드박스를 통과한 서비스의 국내 출시를 허용한다든지, 해외 각국과의 협력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글로벌 디지털금융 중심지 가능성 및 추진방안 토론회 참여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황예찬 기자)
글로벌 디지털금융 중심지 가능성 및 추진방안 토론회 참여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황예찬 기자)

이날 토론자로 참여한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도 규제를 다듬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 소장은 “디지털금융에 기여하는 IT 인력이 원활하게 인적자원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 관련 규제도 이슈가 될 수 있다”며 “국내 인재뿐 아니라 해외 인재도 같이 들어와서 경쟁이나 협력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재의 유출입 과정, 이민 절차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디지털금융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앤장 법률사무소 이한진 변호사는 “금융안전과 이용자 보호에 대한 부분은 반드시 가져가야겠지만,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책을 일관성 있게 가져가야 한다”며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세계적인 기업이 되려 하는 기업을 어떻게 우리나라로 끌어들일 수 있을지, 정부에서 더 적극적인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민철 ㈜로똔다 대표 역시 “가상자산의 전 세계 거래량에서 원화가 차지하는 위상은 달러화 다음”이라며 “최근 루나 폭락 사태 등으로 혼란이 많지만, 이를 매몰비용이라고 생각하고 다음 도약으로 활용하지 못하면 기회를 잃어버리는 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