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칼럼] 2월, 새학기를 맞이하며
[교육칼럼] 2월, 새학기를 맞이하며
  • 송지나 기자
  • 승인 2022.02.15 13:1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승범 홍대부속초등학교 교사
방승범 홍대부속초등학교 교사

어느덧 2022년이 시작된 지 1달이 지나 2월이 됐다. 1월에 이미 종업식을 한 학교도 있고, 2월에 종업식을 하는 학교도 있다. 필자의 학교는 2월에 종업식을 하기에 현재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매년 2월이 되면 학생들과 지난 1년 동안 있었던 다양한 일들이 생각난다. 그리고 학생들을 성장시켜 올려보내는 뿌듯함과 헤어진다는 아쉬움, 슬픔 등 다양한 감정들을 느끼곤 한다.

2월에 교사들은 학교를 옮기거나 학년, 업무 등을 받고 난 후 새학기 준비를 한다. 더불어 학생들을 위해 교실 환경을 새로이 꾸미기, 학급에서의 1년 계획 세우기, 학생들과 긍정적으로 라포르 형성하기 등 많은 준비를 한다.

2월은 교사에게 있어서 원래 있었던 친구들과 이별하는 슬픈 달이지만, 새로운 학년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를 하면서 즐거움을 느끼는 때이기도 하다.

학창 시절 졸업식은 항상 2월이었다. 졸업식을 하고 나면 친구들과 헤어진다는 아쉬움이 항상 있었다. 물론 이별이 있으면 새로운 만남이 있다는 말처럼 졸업하고 난 뒤 새로운 학교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만났다.

중학교를 졸업 했을 때 친하게 지내던 친구들이 모두 다른 고등학교에 배정받아서 매우 슬펐었다. 하지만 슬픔도 잠시, 고등학교 같은 반에 학원에서 친하게 지냈던 친구가 있어서 많이 놀랐던 기억이 있다. 새로운 친구, 선생님들과 고등학교에서 잊지 못할 다양한 추억들을 쌓으며 즐겁게 학교생활을 했었다.

대학교 오리엔테이션(OT)은 2월에 있었고, OT에서 대학교 친구들을 처음 만났다. 동기들을 처음 보았을 때 많이 어색했었지만 OT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친해졌다. 그 덕분인지 3월 입학식 날 다시 봤을 때 동기들과 어색함이 없었고, 지금까지도 친하게 지내고 있다. 2월 OT는 단순한 행사가 아니라 새로운 대학 생활을 시작하기 위한 좋은 경험이자 계기였다.

이처럼 2월은 익숙함과 헤어지는 달이지만 새로움이 시작되는 달이기도 하다. 특히 학생들은 3월 신학기를 어떻게 시작할 것인지에 대해 관심이 많다. 주위 친구들과 이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기도 하고, 교사에게 새로운 학년에 대해서도 계속 질문을 한다.

이런 질문을 하는 학생들에게 2월 봄방학 동안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마음가짐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곤 한다. 2월은 새로운 1년의 시작이자 준비를 하는 시기이며, 2월의 마음 상태에 따라서 이후 1년이 결정될 수 있기에 새로운 시작을 대하는 새로운 마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처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시작할 때 긍정적인 마음이 필요하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시작을 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유행한 지 어느덧 2년이 지났다. 지금도 코로나19 전과 같이 학원에 다니는 친구들은 많이 볼 수 있지만 운동을 하는 학생들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코로나19로 인해 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어려워졌기에 학생들이 운동하는 시간이 줄어든 것이다. 예전에는 수영장을 다니는 학생들을 쉽게 볼 수 있었지만 요즘은 수영장 자체가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비록 환경상 운동하기는 어려워졌지만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도 찾아보면 많이 있다. 운동을 하고 나면 많이 피곤하고 힘이 든다. 그리고 단기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해서 그 효과를 바로 느낄 수 없다. 운동의 효과를 느끼려면 꾸준함이 필요하다.

운동을 꾸준히 하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가 매우 많다. 만약 사람이 없는 공터에서 줄넘기를 한다면 심폐지구력 강화, 근력 강화, 스트레스 해소 등의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운동의 긍정적 효과는 많은 사람이 알고 있다. 하지만 이를 실제로 실천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새로운 학년에서의 새로운 마음가짐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운동을 꾸준히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2월에는 여유가 있을 때 학생들과 새로운 학년에 올라가서 학습할 단원들을 미리 살펴보곤 한다. 내용 설명보다는 이 단원을 왜 학습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하곤 한다.

이 활동을 하는 첫 번째 이유는 학생들이 새로운 학습 내용에 대해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나선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새로운 학년에서 이전 학년 때 배운 내용보다 심화되고 어려운 내용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 교실에서도 3월에는 학습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이를 설명해 주면 학습에 대한 두려움, 거부감이 낮아질 수 있다.

두 번째로 학업에 대해 흥미를 유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만약 지금 말하는 내용을 학습하고 평가한다고 생각하면 부담감이 생겨 학습에 대한 흥미가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2월은 평가와 관련이 전혀 없기에 학생들은 부담감 없이 참여할 수 있다.

새로운 학기를 맞이하면서 중요한 것은 과거와 비교하면 안 된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1년이라는 시간 동안 친구들, 선생님, 교실 등에 많이 익숙해져 있다가 새로운 학년과 교실에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과거의 환경들과 비교하게 된다.

하지만 비교의 기준을 과거에 둔다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새로움은 낯섦의 다른 표현이다. 낯설음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해 낯섦을 익숙함으로 바꿔야 한다. 여기서 핵심은 ‘계속해서 긍정적으로’이다. 낯섦은 한번에 해결되지 않기에 계속, 반복하여 긍정적으로 익숙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생들에게도 새로운 학년이 되거든 지금의 교실에 찾아오지 말라고 한다. 1년 동안 정성을 다해 지도한 제자들이기에 마음속으로는 솔직히 많이 보고 싶다. 하지만 이는 교사 개인의 욕심일 뿐, 학생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곧 3월이다. 3월 교실에 가면, 새로운 학생들과 다시 1년을 시작한다. 새롭고 즐거운 1년을 보내기 위해서 2월에 새로운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방승범 교사 프로필>
- 홍대부속초등학교 교사
- 서울교대 학사 및 동 대학원 졸업
- 디지털 교과서 강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