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출토유물, 고궁박물관서 일반 공개
인사동 출토유물, 고궁박물관서 일반 공개
  • 황예찬 기자
  • 승인 2021.11.03 16:4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문화재청 제공)
(사진=문화재청 제공)

[베이비타임즈=황예찬 기자] 지난 6월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돼 많은 관심을 받았던 조선 시대 주요 금속 유물들이 출토 5개월 만에 공개된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과 (재)수도문물연구원(원장 오경택)은 3일부터 오는 12월 31일까지 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Ⅱ에서 인사동에서 발굴한 유물 1755점을 모두 선보이는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인사동 발굴로 드러난 조선 전기 금속활자’ ‘일성정시의와 조선 전기 천문학’ 등 총 2부로 구성됐다. 지난 6월 발굴 당시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만 사용됐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점, 한글 금속활자를 구성하던 다양한 크기의 활자가 모두 출토된 점 등은 최초의 사례로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당시 화제를 모았던 금속활자들을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1부에서는 한 점의 깨진 도기 항아리가 등장하는데, 발굴 당시에 금속활자들이 담겨 있던 그릇이다. 그릇을 지나면 제작 시기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1300여 점의 활자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맞은편에는 주조 시기가 밝혀진 304점의 갑인자와 을해자, 을유자 활자가 전시되어 있다.

주조 시기를 알 수 있는 활자는 갑인자(1434, 세종 16년) 48점, 을해자(1455, 세조 1년) 42점, 을유자(1465, 세조 11년) 214점이다. 활자 중 ‘화(火)’ ‘음(陰)’ 두 글자는 갑인자로 찍은 ‘근사록(1435, 보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물관 측은 이를 바탕으로 이 두 글자를 포함해 형태와 모양이 같은 활자 48점을 골라 책자와 함께 전시했다.

을해자와 을유자로 확인된 활자는 각 ‘능엄경(1461, 보물, 서울역사박물관 소장)’과 ‘원각경(1465, 보물, 호림박물관 소장)’에 찍힌 글자를 확인했고 해당 활자들이 을해자와 을유자임을 보여준다.

박물관 측은 전시된 금속활자를 관람객들이 더 잘 볼 수 있도록 전시장 여러 곳에 확대경과 사진을 담은 휴대용 컴퓨터를 비치했다. 또한 주조를 담당했던 ‘주자소 현판’과 조선 시대 활자 주조의 연혁이 적혀 있는 ‘주자사실 현판’도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있다.

(사진 왼쪽부터)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소일영, 일전. (사진=문화재청 제공)
(사진 왼쪽부터)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소일영, 일전. (사진=문화재청 제공)

2부에서는 조선 전기 과학기술을 알려주는 유물들을 소개한다. 특히 주목되는 유물은 ‘일성정시의’다. 

일성정시의는 1437년(세종 19)에 국왕의 명으로 처음 제작된 주야 겸용 시계로 중국에서 전래한 혼천의와 간의의 기능을 높이고 크기를 소형화한 시계다. 낮에는 해 그림자, 밤에는 별을 관측해 시간을 측정했으며 그동안 기록으로만 확인되다가 처음으로 실물이 됐다.

또한 일성정시의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박물관 소장품인 ‘소일영’을 전시했다. 해시계인 소일영은 눈금표가 새겨진 둥근 고리와 받침대, 석제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체를 한꺼번에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 밖에 직사각형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자동 물시계 부속품인 ‘일전’을 볼 수 있다. 자동 물시계에는 시간을 알려주는 인형이 있는데, ‘일전’은 바로 그 인형을 작동시키는 구슬을 방출하는 부품이다. 이 일전이 자동 물시계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작동 원리는 무엇인지를 담은 영상도 공개된다.

공개유물 가운데 제작 연대가 확실한 1점의 승자총통(1583년)과 7점의 소승자총통(1588년)도 볼 수 있다. 이 총통에는 제작한 장인의 이름, 제작 연도, 총통의 무게와 화약량 등이 기록되어 있다. 

더불어 제작 연도(1535년)가 적혀진 동종(銅鐘) 파편과 정륭원보, 조선통보 등 금속화폐도 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인사동 발굴 현장의 하루와 발굴 참여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은 영상도 볼 수 있다. 음악가 박다울 씨가 이번 전시를 위해 출토 유물과 유적의 의미를 담은 곡을 직접 작곡해 특별함을 더했다. 11월 둘째 주에는 박다울 씨가 전시실에서 직접 연주한 영상을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를 통해서 제공할 예정이다.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록과 온라인 콘텐츠도 제공한다. 도록은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직접 내려받을 수 있다. 11월 둘째 주부터는 인사동 발굴 이야기를 담은 영상, 전시해설 영상 각 1편을 문화재청과 박물관 유튜브로 제공한다. 전시실 전경, 유물설명, 사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VR) 콘텐츠도 제작하여 공개할 예정이다.

국립고궁박물관 관계자는 “전시를 통해 인사동에서 출토된 유물의 전모를 알리고자 한다”며 “다른 연구자들에게 후속 연구가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국민이 조선 전기 과학문화의 정수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