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코로나19, 헬조선 노인복지를 지켜낼 비밀병기들
[특별기고] 코로나19, 헬조선 노인복지를 지켜낼 비밀병기들
  • 김복만 기자
  • 승인 2020.05.08 18:3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사자와 입소자 상시검진 체계로 조기 확진, 확산 방지해야!
노인복지시설 열화상 카메라 설치로 상시 감시 체계 갖추자!
‘케이 장기요양(K-Long-term-care) 모델 구축’ 절호의 기회
조용형 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장.
조용형 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장.

‘헬조선’이 아닌 ‘헬아메리카’ 게이트가 열렸다.

2002년 중국 광동성 사스나 2015년 중동발 메르스 및 홍콩 독감 등 우리 세대에게는 역사적 사실이 ‘코로나19’로 재현되면서 우리는 여러 가지를 발견하게 된다.

늘 선진 사례에 목말라 민관의 주요 인력들이 선진국의 우수사례를 찾아 유람단을 구성해 우리의 낮음을 인정하는 세월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를 계기로 우리의 대응 수준이 세계 최고임을 깨닫게 됐고, 반면에 미국의 성문은 지옥문이 되어 열리고 말았다. 우리가 떠받들었던 미국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노인복지시설의 설립 취지가 무색할 만큼 기저질환이 있는 노인입소자들의 희생은 극단적이다.

7일 현재 미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122만3468명, 사망자는 7만3039명이다. AP통신은 현지시간 5일 기준으로 뉴욕주 노인요양원에서 코로나19로 사망했다고 보고된 인구 수가 3113명이 아니라 이보다 많은 4813명이라고 보도했다. 만약 한국의 노인요양시설에서 대규모 희생이 발생했다면, ‘헬조선’의 현실판이 아닐 수 없다.

한국의 경우 7일 0시 기준 사망자는 256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80세 이상이 122명, 60~79세까지 114명 등 60세 이상 사망자가 전체의 92%를 차지한다.

우리 사회는 전 세계 국가로부터 ‘방역 선진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런데도 무언가 불길함이 사그라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전문가들이 가을철 코로나 2차 폭발 가능성을 예견하기 때문이다. 노인세대의 특징은 세계적·보편적이므로 경계를 늦추면 안 된다.

앞으로 6개월 후 우리 사회는 코로나19 재폭발의 암운에 짓눌릴 수 있다. 올해 봄기운을 잊었듯, 가을의 추억 또한 기대할 수 없다. 10조원에 육박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예산을 투입하는 이유는 입소자인 어르신을 보호하고 존엄한 삶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므로 가을철 2차 폭발을 대비한 기능 보강이 절실한 것이다.

먼저, 노인요양시설이나 양로시설의 경우 입소자와 종사자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 의무화가 요구된다. 파상적이고 의심스러울 때 확진 여부를 검사하는 시스템이 아닌 상시 검사체계를 가동해야 한다.

또한, 열화상카메라와 자동손소독기 역시 보급되어야 한다. 정부는 8일 어버이날 전국적으로 6000여 노인요양시설과 가족에게 방문 자제를 요청했다.

입소 노인의 자녀들과 손주들이 방문한다면 일시에 수십만 명이 노인요양시설을 위협에 빠트릴 것은 자명하다. 그렇다면 언제까지 시설입소 노인과 가족의 만남을 억제해야 하는가? 상시 감시가 가능한 열화상 카메라와 자동손소독기는 가족의 유대감을 지켜주는 최소한의 조처이다.

최근 프랑스 중동부 리옹 외곽에 있는 빌라노바양로원이 47일간 자발적 코호트 격리로 희생자가 없었다는 보도를 접했다. 노화와 기저질환으로 면역력이 취약한 노인세대의 경우 최대의 예방은 외부와 단절이다. 그러나 종사자들이 출퇴근해야 하고, 기관 유지를 위한 필수 외부인의 시설 방문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매우 어렵다.

현재 노인요양시설의 기준에는 이러한 코호트 격리를 대비한 공간이 없다. 일부 코호트 격리에 참여한 종사자들이 시설 보도나 사무실에서 잠을 자야 했던 사례들에서 과제 풀이의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코호트 격리에서 종사자들이 기본적으로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면, 최소한 종사자에 의한 감염확률은 낮출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코호트 격리를 대비한 종사자들이 쉴 수 있는 숙직실을 설치하거나, 화장실이 있고 남녀를 구분할 수 있는 야외 컨테이너 숙소가 필요하다.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와 전쟁에서 우리는 노인세대를 지켜낼 수 있을까. ‘헬조선’의 문이 열리지 않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방식과 보이지 않는 방편 등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야 한다.

투자 없이 어쩌다가 방역 선진국이 된 것이 아니듯, 정부는 노인복지 현장의 소리를 정책에 반영하여 케이 장기요양(K-Long-term-care)으로 헬조선의 문을 지켜내야 한다.

/ 조용형 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 회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