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미 ‘버섯 식중독 사망’ 오보에 한국 버섯 농가 위기
[기고] 미 ‘버섯 식중독 사망’ 오보에 한국 버섯 농가 위기
  • 김복만 기자
  • 승인 2020.03.16 11:5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버섯통합수출조직 k-mush 최동훈 대표이사
버섯통합수출조직 k-mush 최동훈 대표이사

최근 미국 CNN 및 국내 주요언론에 따르면 한국산 버섯을 먹고 리스테리아 균의 원인으로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36건의 식중독 사례로 사망 4명, 유산 2명이 발생했다고 보도됐지만 이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다.

이 보도의 원천이 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FDA의 지난 10일 발표내용은 2016년 11월 23일부터 2019년 12월 13일까지 리스테리아 균으로 인해 질병이 발생한 환자는 총 36명이며, 이 가운데 사망자가 4명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 중 22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진행한 결과 12명(55%)이 버섯류를 섭취하였으나, 한국산 팽이버섯 외에도 포토벨로, 양송이, cremini, 목이, 잎새버섯도 먹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이번에 수거한 팽이버섯(선홍)에서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되어 회수 조치한 것이고, 한국산 버섯으로 4명이 사망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미국 미시간 농어촌진흥과에서 테스트용 버섯을 상점에서 수거했고, 이 중 두 샘플에서 리스테리아 균주가 발견됐으며, 이 균주가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버섯이 한국산 제품으로 표시돼 있는 ‘선홍푸드’가 유통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리스테리아 균에 의한 식중독 사례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번 미국 리스테리아 균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는 아마 한국과 미국의 식습관 문화 차이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버섯을 고온에 끓인 후 요리를 하지만, 미국은 신선 채소를 샐러드로 즐겨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식품위생 규정에 아직 버섯 농산물에 대한 리스테리아 제재 조항이 없는 상황에서 미국 언론 보도의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아보지 않은 전달하기식 보도는 지양해야 한다. 마치 국내산 버섯이 사망 원인으로 전 세계에 알려져 국내 버섯 농가를 필두로 국내 농산물 유통의 총체적 위기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전 세계가 코로나19 감염 사태로 국내는 물론 세계 경제가 총체적 위기에 돌입한 시점에서 각 나라가 자국의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 뛰고 있는데, 국내 버섯 농가에 치명타가 될 수도 있는 이런 보도로 버섯 농가의 도산을 초래한 뒤 추후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이번 한국산 팽이버섯이 이슈화된 것은 미국에서 역학조사를 하는 과정에 환자 30명 중 정보 입수가 가능한 22명을 조사한 결과, 12명(55%)이 아프기 한 달 전부터 먹은 음식 중에 팽이버섯을 포함한 여러 버섯류를 먹은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이다. 미시간 농어촌진흥과는 수거 조사한 팽이버섯 두 샘플에서 리스테리아 균주가 발견되었고 이 균주가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 버섯은 선홍푸드에서 유통하였고 ‘한국산 제품’으로 표시되었으며 추가 테스트가 캘리포니아에서 진행 중이다, 미 CDC는 선홍푸드의 모든 제품을 회수 조치하였으며, ‘한국산’으로 표기된 팽이버섯이 리스테리아에 오염되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염려해 확인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고위험군으로 팽이버섯을 섭취하지 않도록 권고하는 중이나, 선홍푸드가 공급한 팽이버섯이 모든 질병의 원인인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 팩트이다.

국내 언론의 전달하기식 보도를 보면서 과거 2004년 쓰레기만두 사례가 생각난다.

당시 만두 공장 130여 곳이 폐업 위기에 처하고 사장 목숨까지 빼앗아갔으나, 1년 후 확인한 결과 무죄로 판결되고 언론에는 잘못된 사진과 경쟁적 과장 보도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과거 사례를 거울삼아 사실에 입각한 보도가 국가산업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깨닫게 한다.

따라서, 이번 사태로 인하여 국내 농산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위생관리 기준과 섭취문화의 국가 간 차이에서 벌어질 수 있는 오해의 소지도 꼼꼼하고 세심하게 살펴 대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 농산물에 대한 안전기준을 보다 더 철저히 강화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기고 내용은 필자 개인의 견해(주장)임을 밝히며 베이비타임즈의 편집 방향과는 관련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