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남녀가 생각하는 이상적 결혼연령은 ‘30대 초반’
미혼 남녀가 생각하는 이상적 결혼연령은 ‘30대 초반’
  • 김복만 기자
  • 승인 2019.02.16 23:5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사연 연구보고서…‘결혼 시기 늦춰지는 만혼화 현상 반영’
결혼 조건으로 ‘경제력’ 고려 비율, 남성 53.0%, 여성 92.7%

[베이비타임즈=김복만 기자]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결혼연령은 남녀 모두 30대 초반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결혼 시기가 늦춰지는 만혼화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결혼 조건으로 경제력을 고려하는 비율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미혼 여성의 배우자 조건으로 경제력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이 같은 내용의 ‘미혼 인구의 결혼 관련 태도’ 보고서를 내놨다.

연구팀은 미혼남성 1140명과 미혼여성 1324명을 대상으로 결혼 필요성, 결혼 의향 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미혼남성의 이상적인 결혼 나이’에 대한 질문에 미혼남성의 절반이 넘는 58.7%가 30대 초반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30∼31세 29.4%, 32∼34세 29.3%였고, 35세 이상을 고른 경우도 28.7%에 달했다. 28∼29세는 8.7%, 27세 이하는 3.9%였다.

미혼여성이 미혼남성의 이상적인 결혼 나이로 30대 초반을 선택한 경우는 57.1%였다. 세부적으로 30∼31세 22.2%, 32∼34세 34.9%, 35세 이상 36.1%였다. 하지만 28∼29세는 5.3%, 27세 이하는 1.4%에 그쳤다.

미혼여성이 생각하는 미혼남성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이 미혼남성 자신보다 좀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미혼여성의 이상적인 결혼 나이’와 관련해 미혼남성은 미혼여성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으로 30∼31세(40.8%)를 첫손으로 꼽았다. 다음으로 28∼29세(21.4%), 27세 이하(16.1%), 32∼34세(13.4%), 35세 이상(8.3%) 등의 순이었다.

미혼여성 자신이 인식하는 미혼여성의 이상적인 결혼연령도 30∼31세가 36.6%로 가장 높았지만, 32∼34세도 26.2%나 되고, 35세 이상을 선택한 경우도 17.4%에 이르렀다. 그렇지만 28∼29세 14.5%, 27세 이하 5.4% 등에 그쳤다.

미혼여성이 미혼남성보다 더 높은 연령을 자신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미혼인구(20~44세)를 대상으로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 질문한 결과, 미혼남성은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의견이 14.1%, ‘하는 편이 좋다’ 36.4%,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 39.2%, ‘하지 않는 게 낫다’ 6.6%로 나타났다.

미혼 여성은 ‘반드시 해야 한다’ 6.0%, ‘하는 편이 좋다’ 22.8%,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 54.9%, ‘하지 않는 게 낫다’ 14.3%의 응답 분포를 보였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응답률이 남성은 50.5%로 절반을 넘은 반면에 여성은 28.8% 수준에 그쳤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결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그렇다고 미혼화 경향을 여성들만의 현상으로 보기는 힘들 것으로 분석된다. 남성도 여성과 마찬가지로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는 유보적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하지 않는 게 낫다’는 의견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수치는 아니었다.

이런 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결혼에 대해 더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성별 차이로만 보기보다는 청년층 전반에 결혼에 대한 부정적 또는 유보적인 태도가 널리 펴져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해 보인다.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혼 응답자들의 배우자 조건에 대한 조사에서는 남성과 여성 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경우 성격(95.9%), 건강(95.1%), 가사·육아에 대한 태도(91.1%), 일에 대한 이해·협조(90.8%), 공통의 취미 유무(76.9%) 순으로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반면, 여성의 경우 성격(98.3%), 가사·육아 태도(97.9%), 건강(97.7%), 일에 대한 이해·협조(95.6%), 소득·재산 등 경제력(92.7%)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력을 고려하는 비율이 남성 응답(53.0%)보다 여성 응답에서 훨씬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우리 사회가 결혼에서 남성의 경제력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밖에 배우자의 조건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중 성별 격차가 크게 나타난 문항으로는 직종 및 직위 등 직업(남성 49.9%, 여성 87.1%), 학력(남성 31.0%, 여성 55.0%), 가정환경(남성 75.1%, 여성 89.8%) 등이었다. 이들 항목은 내용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경제력과 관련성이 높다는 점에서 미혼 여성의 배우자 조건으로 경제력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이 가계 경제를 책임진다는 전통적 의식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청년 세대의 열악한 경제 상황, 특히 여성의 일자리 불안 등과 같은 부정적 경제 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로도 해석된다.

한편 배우자 조건에 대한 태도에서의 남녀 인식 차이는 응답자의 다른 특성별 분포에서도 나타난다.

우선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면, 남성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배우자의 경제적 요건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응답률이 점차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비슷한 분포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연령에 따른 응답의 차이 없이 모든 연령대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이 유지되는 일관된 양상을 보였다. 남성에게서 연령 증가에 따라 경제적 요건이 중요하다는 응답률이 차츰 낮아지는 것은 결혼 이행의 의무감이 상대적으로 더 높아 배우자에 대한 기대 수준을 낮춘 데 기인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령 증가에 따라 경제적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배우자에 대한 기대가 낮아졌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반대로 여성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여성 고용 환경에서 여성의 연령이 높아져도 배우자에 대한 경제적 기대 수준을 낮출 수 있을 정도로 경제적 안정성이 향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우리나라는 결혼연령이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으로 늦춰지면서 결혼을 하지 않거나 늦추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통계청의 ‘2016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혼인 연령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6년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2.8세, 여자 30.1세로 1년 전보다 각각 0.2세, 0.1세 상승했다. 남녀 차이는 2.7세로, 10년 전 3.2세보다 나이 차이가 줄었다.

2016년 혼인은 28만1600건으로 1년 전보다 7.0%(2만1200건) 감소했다. 1974년 25만9100건 이후 가장 적다. 1970년대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 꾸준히 유지되던 30만건대도 무너졌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인 조혼인율은 5.5건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결혼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짙게 나타나고 있다.

해당 연령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연령별 혼인율을 보면 결혼 시기도 꾸준히 늦어지는 추세를 읽을 수 있다.

2016년 남성 혼인율은 30대 초반(59.3건), 20대 후반(36.8건), 30대 후반(24.3건) 순이었다.

20대 후반의 혼인율은 사상 처음으로 40건대 아래로 떨어졌다. 20년 전 99.2건, 10년 전 56.7건에서 수직 낙하했다. 특히 여성 혼인율은 20년째 20대 후반에서 가장 높지만, 수치는 크게 하락했다.

2016년 이 연령대 혼인율은 66.5건이었다. 10년 전 81.8건, 20년 전 84.5건에 견줘 차이가 크다.

그러나 30대 초반의 혼인율은 2016년 50.1건으로, 10년 전 29.7건보다 크게 늘어 남성과 함께 여성의 결혼도 점차 30대로 늦춰지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 사회에서 청년인구의 미혼율은 2000년대 들어 급격히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이런 경향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며 “청년의 삶의 질 개선을 통해 자연스럽게 생애과정 이행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