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치과병원 오송희 교수] 치아 건강을 부탁해 7편
[경희대치과병원 오송희 교수] 치아 건강을 부탁해 7편
  • 유경수 기자
  • 승인 2021.12.13 10:2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희대 치과종합검진센터 오송희 교수와 함께하는 치아 상식
우리가 몰랐던 치아 건강-매주 3가지 건강 궁금증 싹~
A: 단순 육안검사시 이미지, B: 정량광형광분석검사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그림1. A: 단순 육안검사시 이미지, B: 정량광형광분석검사시 이미지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베이비타임즈=유경수 기자] 경희야부탁해 치아건강 일곱 번째 시간은 치아와 치아 사이에 생기는 충치 ‘인접면 우식증‘에 대한 정보를 준비했다. 일반충치와는 다르게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이 질환은 과연 무엇일까? 경희대치과종합검진센터 오송희 교수와 함께 ‘인접면 우식증‘의 진단사례 및 예방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Q1) 인접면 우식증이란?

치아와 치아 사이에 생기는 충치(우식)로, 이 우식의 특징은 치아와 치아 사이(인접면 혹은 그 하방)에서 충치가 시작되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래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초기 인접면 우식을 눈으로 볼 수 있게 도와주는 진단장비를 활용해야 한다. 그 대표적인 장비로 X선 장비(교익 방사선 사진)와 정량광형광검사 장비인 큐레이(Q-Ray)가 있다.

Q2) 인접면 우식증을 진단하는 과정 및 실제 진단 사례를 살펴보자.

우선 인접면 우식증을 진단받기 위해서 치과를 방문하면 육안 확인 등 전통적인 검진법을 통해서 치아 상태를 1차 판단한다. 육안 검사시 인접면 우식증으로 의심되는 경우 정량광형광검사(큐레이, Q-Ray)를 통해서 형광 여부를 탐지한다. 붉은 형광이 보일 경우 추가적으로 교익 방사선 영상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접면 우식증을 진단을 하게 된다.

첫 번째 사례는 오른쪽 상악 제2소구치의 원심면에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려운 병소를 큐레이 영상을 통해서 붉은 형광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1) 이렇게 붉은 형광이 보일 경우 확진을 위해서 추가적인 X-ray 검사(교익방사선사진)를 시행해 인접면 우식증의 정확한 위치와 깊이 그리고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림2)

교익방사선사진에서 오른쪽 상악 제2소구치 원심면에 상아질의 1/3까지 우식이 진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그림 2. 교익방사선사진에서 오른쪽 상악 제2소구치 원심면에 상아질의 1/3까지 우식이 진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두 번째 사례는 왼쪽 상악 제2소구치의 원심면에 육안으로는 확인이 어려운 인접면 우식증을 큐레이 영상(그림3)과 X-ray 검사(교익방사선사진, 그림4)를 통해서 확진할 수 있었다. 자칫 발견과 치료 시기를 놓쳤더라면 인접면 우식이 신경까지 이환되어 신경치료까지 받아야 했을 수도 있었던 사례였다.

그림3. A: 단순 육안검사시 이미지 B: 정량광형광분석검사시 이미지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그림 3. A: 단순 육안검사시 이미지 B: 정량광형광분석검사시 이미지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그림 4. 교익방사선사진에서 왼쪽 상악 제2소구치 원심면에 상아질의 1/2까지 우식이 진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그림 4. 교익방사선사진에서 왼쪽 상악 제2소구치 원심면에 상아질의 1/2까지 우식이 진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경희대의료원 제공)

Q3) 인접면 우식증의 예방 및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칫솔질, 치간칫솔, 치실 등을 활용해 꼼꼼히 관리를 하여도 치아 사이 틈새나 칫솔이 닿지 않는 곳의 음식 저류나 타액을 닦아내는 것은 쉽지가 않다. 이에 따라, 6개월 또는 1년에 한번씩 치과에 와서 검진을 받는 것이 인접면 우식증을 예방하는 현명한 방법이다. 또한, 진단받더라도 대상 치면이 보존적 치료가 요구되는 병소 (OCA: Operative Care is Advised)인지, 혹은 예방적 치료가 요구되는 병소 (PCA: Preventive Care is Advised)인지, 혹은 치료가 필요 없는지 (NCA: No Care is Advised)를 구분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오송희 교수 프로필>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졸업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영상치의학과 임상조교수

영상치의학과 전문의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대한영상치의학회 정회원

대한영상치의학회 학술위원

구강악안면초음파연구회 정회원

현)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치과종합검진센터 부센터장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