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우린 지구 정말 사랑했을까?
[취재수첩] 우린 지구 정말 사랑했을까?
  • 유경수 기자
  • 승인 2021.11.29 10:3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은시간 사실상 7년...극적인 변화 시작해야 할 때“
2030년 1.5°c 상승, 경험해 보지 못한 폭염·추위 온다
한국인이 사용하는 일회용품 소비량 ‘1년간 33억 개‘

[베이비타임즈=유경수 기자] 지구가 너무 아파 더 이상 못참겠다고 한다. 지구촌의 기후변화 더 이상 먼훗날의 일이 아니다. 북극의 빙하가 심각하게 녹고 있으며, 아프리카의 사막화 등 기후변화가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에 느껴 90년대 말부터 지구촌의 리더들은 머리를 맞대기 시작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COP3(기후관련 세 번째 회의)에서는 ‘교토의정서‘가 채택돼 2005년부터 발효됐다. 교토의정서의 핵심은 산업화된 국가들의 탄소 의무감축이 목표였다.

지난 2015년엔 프랑스 파리에서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파리 기후변화협약‘이 발표됐으며, 파리 기후변화협약의 요점은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2도 아래로 억제하기 1.5°c를 넘지 않도록 노력하는 걸 목표로 각국이 ‘5개년‘ 대응 계획을 수립했다. 좀 더 살펴보면 2015년 파리 기후변화협약에서 거론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전 세계가 2030년까지 배출량을 45%로, 2050년엔 0%에 가깝게 줄여야 한다. 지구의 모든 나라들에게 공통과제가 주어지게 된 것이다.

상황은 심각하다. 지구가 버틸 수 있는 마지막 기온상승의 마지노선 1.5°c를 돌파하는 카운트다운이 시작되고 있다. 환경단체는 지구촌의 기업들의 무한경쟁 산업화로 인해 지구가 더 병폐해지고 망가지고 있으며, 개발도상국, 저소득국가 등이 환경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러한 환경피해는 인해 빈곤 등으로도 연결되기 때문에 기후협약 과제를 해결하면서도 다양한 인도적 지원을 선진국들이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국 등 유럽의 선진국들은 지난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COP15‘에서 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를 개도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금에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러나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전 세계 환경단체들은 일제히 비난하며, 온실가스를 배출하면서 착취하고 이기적인 개발정책으로 경제성장을 이룬 선진국들은 기후위기가 오고있는 일등공신이며, 책임이 큰 나라일수록 단호하고 적극적인 조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폐막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도 끝내 석탄발전소 폐쇄의 합의는 못 이뤘다. (사진=로이터통신 제공)
지난 13일 폐막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도 끝내 석탄발전소 폐쇄의 합의는 못 이뤘다. (사진=로이터통신 제공)

불교환경연대 한주영 사무처장은 “사실상 기후재앙은 이미 시작되고 있으며 그 시기가 7년밖에 남지 않았다“며, “지구촌의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하며, 이제는 우리모두가 극적인 변화를 해애야 할 시기다“고 강조했다.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은 곧 닥칠 일이며,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정부도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을 인정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 선언을 하고 ‘2050탄소중립위원회‘를 구성했다. 다만 지난 8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세 가지 시나리오를 발표했지만, 환경전문가들은 조금 더 세부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을 내놨다. 현재 정부의 탄소배출 국가감축목표는 2030년에 2017년 배출량 대비 24.4% 감축이다. 하지만 지구촌은 이보다 상향된 국가감축목표를 요구하고 있다.

대한민국 역시 그 책임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강의 기적‘이라는 전 세계 경제 훈장을 받으며 달콤한 경제성장을 했지만 그 과정에서  환경오염의 빛을 떠안았기 때문이다. 환경단체에서는 정부는 대기업과 재벌기업 눈치를 보면서 내놓은 정책이 아니라 근본적 해결을 위한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연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렇다면 정부와 정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불교환경연대 한주영사무처장은 기본적인 3가지를 실천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중단 폐쇄‘

한 처장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50% 이상 감축하고 태양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50% 이상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자력발전과 석탄발전을 통해 생산되는 그 달콤함 에너지가 결국 환경파괴의 독버섯 같은 존재“라고 비난했다. 또한 “산업과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사회 전환은 노동자, 농민, 중소상공인 등 당사자들과 함께 실현하는 정의로운 전환과 이를 위해 기후정의와 정직한 일자리 전환을 위한 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추가적으로 사람들이 한가지 잊고 있는 것이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자동차로 전환되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다. 다만 그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기는 과연 어디에서 생산되는지를 생각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태양광 패널 가정화‘

“처음에서 말씀드린 것에서 연장되는 것인데  자가발전기에 해당되는 태양광 패널을 집에 달면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사용량을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다“며 설치를 권유했다. 이어 “하지만 각 지체체별로 보조금이 달라 일정인원이 모집되면 끝나 설치를 못하고 있는 가정도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가정용 태양광 패널 설치 보조금 정책을 정부에서 다시 한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각 환경단체에서는 태양광 패널 설치를 권장하고 있는 상태이며, 태양광 패널의 가정화를 통해 발전소의 업무량을 낮출 수 있다면 환경을 개선하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생활가정 쓰레기 줄이기‘

한 처장은 “너무나도 잘들알고 있지만 다시한번 잔소리를 하겠다“고 시작했다. “가정용 생활쓰레기 그중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량은 엄청나다“며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커피를 마실때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일회용품 플라스틱을 굉장히 많이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의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활동하는 캠페인 단체 ‘그린피스‘의 지난 20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사용하는 일회용품 소비량은 1년간 33억 개라고 밝혔다. 그야말로 입어 벌이지는 숫자이다.

한주영 처장은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복병중에서는 ‘의류 폐기물‘도 있다“고 덧붙였다. “매년 엄청난 양의 옷 폐기물이 쏟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옷 폐기물들은 덤핑판매를 통해 개발도상국이나 저소득국가에 넘어가게 된다. 문제는 너무 싼 가격에 넘겨 이 곳에서도 안팔리면 버려져 결국 산처럼 쌓이게 된다. 사실상 적은 가격을 주고 쓰레기를 버리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저소득국가, 개발도상국들의 나라들이 쓰레기장으로 변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후변화는 직접적으로 자신한테 바로 피해를 오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알면서도 실천에는 미온적 인 것이다“며 “당장 오늘 저녁에 무엇을 먹을지?“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오늘은 지구를 위해 내가 어떤 도움이 될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길 권유한다고 밝혔다.

지구촌의 한 소녀는 지난 2018년부터 매주 금요일 등교를 거부하고 ‘기후를 위한 학교 파업’이라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시작했다. 스웨덴 청소년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그 주인공이다. 그녀는 기후위기 상황 앞에서 적극적인 대응이나 긴장감이 부족한 정부와 기성세대를 향해 “당신들이 오염시킨 이 공간을 먼 훗날 왜 우리가 피해를 입어야 하는가?“라고 질타를 날렸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한국의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 9월 청소년 환경단체 ‘청소년기후행동’ 활동가들도 매년 9월 마지막 금요일인 ‘기후 파업의 날’을 맞아 현재 ‘203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 목표’ 설정을 검토하는 정부에게 대책 마련요구의 목소리를 높이며, 기후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해 언론에서는 문제를 제기하지만 변화는 없으니 어린이와 청소년은 예측할 수 없는 불안한 미래를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 그레타툰베리, 우리 청소년들이 맞았다. 이러한 이기적인 피해를 남은자들이 왜 떠 맡게 되는 것인가? 지구의 온도상승, 높아지는 해수면, 사라지는 동식물, 초미세먼지 등 기후위기는 이미 시작되고 있다. 우리는 지구를 정말 사랑하고 있는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