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성 하루 가사노동시간 2시간 26분...남성보다 3배 길어
서울 여성 하루 가사노동시간 2시간 26분...남성보다 3배 길어
  • 지태섭 기자
  • 승인 2021.01.19 13:5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성평등한 워라밸 파악 위해 '2020 성인지 통계' 발간
"통계 결과 성평등 및 일·생활균형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2020년 서울시 성인지통계.(사진=서울시 제공)
2020년 서울시 성인지통계.(사진=서울시 제공)

[베이비타임즈=지태섭 기자] 서울시는 서울시민의 일·생활 균형 실태에 대한 종합적 파악을 위해 '2020년 서울시 성인지 통계 : 서울시민의 일·생활 균형 실태'를 발간하고, 이와 같은 내용을 19일 발표했다.

'2020 성(性)인지 통계'는 4개 부문(일, 생활, 제도, 관계), 19개 영역, 142개 통계지표로 구성해 여성과 남성의 일·생활 균형 실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서울시 성인지 통계'는 지난 2016년부터 특정 분야 신규 지표 발굴 및 맞춤 정책을 수립하고자 격년 단위로 특정 분야별 통계를 발간하고 있다. 

'2020 서울시 성인지 통계' 주제는 ‘일·생활 균형’으로 서울시와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이 함께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전문가 자문 및 조사자료, 행정자료 등을 분석해 작성했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사회조사', 서울시 '서울서베이' 등이다.

◆ 서울 여성 하루 가사노동시간 2시간 26분...남성보다 3배 길어

서울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여성의 하루 가사노동시간은 2시간 26분, 남성은 41분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가사노동시간이 3배나(1시간 45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급노동시간은 여성이 2시간 40분, 남성이 4시간 13분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시간 33분 짧았다.

맞벌이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2시간 1분, 남성은 38분으로, 맞벌이임에도 여성은 남성에 비해 가사노동시간이 1시간 23분 길었다.

여성과 남성의 하루 생활시간.(사진=서울시 제공)
여성과 남성의 하루 생활시간.(사진=서울시 제공)
맞벌이 여성과 남성의 생활시간.(사진=서울시 제공)
맞벌이 여성과 남성의 생활시간.(사진=서울시 제공)

◆ 시간당 성별 임금격차 27.3%, 주 36시간 미만 노동자 비율 여성이 남성의 2배

여성의 시간당 평균임금은 1만 5037원으로 남성에 비해 약 5천 원 낮았고, 시간당 성별 임금격차는 27.3%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년 전에 비해 2.7%p 증가했고,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1.6%p 감소하는 등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 36시간 미만 노동자 비율은 증가했다. 지난 2019년 취업 여성의 26.6%는 주당 36시간 미만의 유급노동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년 전에 비해 약 5.4%p 증가한 수치이다. 여성의 주 36시간 미만 노동자 비율은 남성(9.9%)의 2배 이상이다.

여성과 남성의 유급노동시간과 성별 임금격차.(사진=서울시 제공)
여성과 남성의 유급노동시간과 성별 임금격차.(사진=서울시 제공)
여성 주36시간 미만 노동자의 증가.(사진=서울시 제공)

◆ 교제 및 참여활동 시간 여성 하루 2시간 26분, 남성 비해 29분 길어

타인과의 교류 등을 나타내는 교제 및 참여 활동 시간은 여성의 경우 하루 2시간 26분으로 남성에 비해 29분 길었다. 반면 남성의 하루 문화 및 여가활동 시간은 5시간 21분으로 여성보다 36분 길었다. 

여성은 월 여가비로 15만 9000원을, 남성은 17만 5000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 1만 6000원 적었다.  체육활동 경비 역시 여성은 7만 7000원, 남성은 9만 4000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만 7000원 정도 더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의 여가시간.(사진=서울시 제공)
여성과 남성의 여가시간.(사진=서울시 제공)
여가활동의 동반자 및 월 여가비.(사진=서울시 제공)
여가활동의 동반자 및 월 여가비.(사진=서울시 제공)

◆  2019년 육아휴직 급여 수급자 남성 비율 20%, 2015년(5.4%) 비해 큰폭 상승

육아휴직 급여 수급자의 남성 비율은 지난 2015년 5.4%에서 2019년 20.0%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수급자의 남성 비율 역시 지난 2015년 7.1%에서 2019년 12.0%로 높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수급자 10명 중 8~9명은 여성이었다. 

종사자 규모가 작을수록 휴가 제도 시행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인 미만 사업장은 휴가비 지원 제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휴가 제도 시행률이 낮았다.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단축제도 수급자.(사진=서울시 제공)
육아휴직 및 육아기 근로단축제도 수급자.(사진=서울시 제공)
사업장별 휴가 제도 시행률.(사진=서울시 제공)
사업장별 휴가 제도 시행률.(사진=서울시 제공)

김기현 서울시 여성정책담당관은 "이번 성인지 통계 결과는 서울시 성평등 정책 및 일·생활균형 정책 추진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며 "올해는 여성과 남성의 생활 실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성인지 통계를 작성해 성별영향평가 및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2020년 성인지 통계'는 책자로 발행해 지자체와 시립도서관, 대학교 등에 배포할 예정이며, 서울시 홈페이지 정보소통광장에서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