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국민연금 통합플랫폼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통합플랫폼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 김은교 기자
  • 승인 2020.07.20 17:0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2024년까지 총 1839억원 투입 예정
(출처=보건복지부)
(출처=보건복지부)

[베이비타임즈=김은교 기자]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국민연금공단(이사장 직무대행 박정배)은 “국민연금 지능형 연금복지 통합플랫폼 구축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민연금공단이 현재 운영 중인 ▲자격·부과관리 ▲연금 급여 ▲기금운용 ▲대외연계 ▲고객채널 ▲정보분석·보호 등 노후화된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기 위해 기획했다.

지난해 9월부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했으며, 조사결과 사업 시행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복지부는 오는 2025년 해당 시스템이 구축되면 국민연금 제도와 기금운용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다는 계획. 향후 ▲고객 편의 ▲업무 효율성 ▲기금운용 환경개선 등 업무관리 서비스 전반이 개선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향후 국민연금 통합플랫폼 사업이 실시되면 다음과 같은 정책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보인다.

먼저 개인별로 최적화된 연금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 신고·신청 절차가 대폭 간소화된다. 또 개인별 축적자료를 기반으로 생애주기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 연계가 원활해져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번째로는 정보통신기술과 연금업무 전반이 융합돼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체계적 업무처리 절차 적용 및 타 기관과의 정보연계 확대로 중복 확인업무도 대폭 감소한다.

마지막으로 지능형 기금운용으로 안정적 수익 창출을 통해 국민의 노후자산의 안전한 운용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특히 해외 및 대체투자 비중 확대로 24시간 글로벌 직접 투자 환경을 구현하고, 다양한 자산군별 리스크 관리 체계도 마련한다는 계획.

또 지능형 인공지능(AI)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도입해 전략적 투자 지원을 가능하게 하고 안정적인 투자발굴 모형 구축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이스란 국민연금정책과장은 “새로운 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2200만명 국민연금 가입자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고, 2024년 1000조원에 달하게 될 국민의 노후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예비타당성조사란 5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신규사업의 기술적․정책적․경제적 타당성을 조사,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다. ‘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시행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