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칼럼] 선조와 이순신의 애증(愛憎)
[김동철칼럼] 선조와 이순신의 애증(愛憎)
  • 김동철 주필
  • 승인 2018.05.23 14:2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흔히들 우리는 선조와 이순신의 관계가 안 좋았다고 알고 있다. 대체로 그렇다. 하지만 애증(愛憎)이 교차된 사실도 기록되어 있다.

이순신이 노량해전에서 살았다고 해도 전 해에 선조의 명을 어긴 죄 때문에 죽음을 면치 못했을 것이라는 이야기는 의자살설(擬自殺說)을 뒷받침한다. 1598년 11월 19일 이순신 최후의 전투인 노량해전에서 투구를 벗은 채 지휘를 하다가 왜적의 조총 탄환에 왼쪽 가슴을 내주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설은 아니다.

임진왜란 초 1592년~1593년 이순신은 바다에서 연전연승(連戰連勝), 왜 수군을 수장시켰다. 이순신은 5월 7일 옥포대첩으로 가선대부(종2품), 6월 7일 율포승첩으로 자헌대부(정2품 하계), 7월 8일 한산대첩으로 정헌대부(정2품 상계) 품계를 받는 등 승승장구했다. 게다가 피난민을 구휼하는 일로 인해 백성들의 인기도 높았다.

그러나 선조는 백성을 버리고 파천한 왕, 여차하면 압록강을 건너 명나라 요동 땅으로 건너가려 했던 무능한 군주로 알려져 있었다. 선조의 입장에서는 이보 전진을 위한 일보 후퇴의 ‘작전 상 후퇴’였는데 말이다.

선조도 처음에는 이순신에게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임진왜란 발발 약 14개월 전인 1591년 2월 13일 이순신은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정3품)로 임명되었다. 선조는 일개 종6품의 지방관인 정읍현감 이순신을 무려 7단계를 뛰어넘은 파격적인 조치로 발탁했다.

당시 이순진의 나이 47세, 요즘으로 말하면 육군 소령 정도에서 졸지에 해군 소장이 된 것이다. 당시 조정에서는 종6품의 현감에서 정3품의 수사로 무려 일곱 품계를 뛰어넘은 파격적인 진출에 대해 세찬 반대 의견들이 있었다.

『선조실록』(선조 24) 1591년 2월 16일자 기사이다.

“사간원이 아뢰기를, ‘전라좌수사 이순신은 현감으로서 아직 군수에 부임하지도 않았는데 좌수사에 초수(招授)하시니 그것이 인재가 모자란 탓이긴 하지만 관직의 남용이 이보다 심할 수 없습니다. 체차시키소서.’ 하니, 왕이 답하기를, ‘이순신의 일이 그러한 것은 나도 안다. 다만 지금은 상규(常規)에 구애될 수 없다. 인재가 모자라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사람이면 충분히 감당할 터이니 관직의 고하를 따질 필요가 없다. 다시 논하여 그의 마음을 동요시키지 말라.’”

이틀 뒤인 『선조실록』 2월 18일자 기록이다.

“사간원이 아뢰기를, ‘이순신은 경력이 매우 얕으므로 중망(衆望)에 흡족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인재가 부족하다고 하지만 어떻게 현령을 갑자기 수사(水使)에 승임시킬 수 있겠습니까. 요행의 문이 한번 열리면 뒤 폐단을 막기 어려우니 빨리 체차시키소서.’ 하니, 왕이 답하기를, ‘이순신에 대한 일을 개정하는 것이 옳다면 어찌 개정하지 않겠는가. 개정할 수 없다. 두 번 다시 말을 꺼내지 말라(可勿更論)!’”

이렇게 이순신은 육군에서 해군으로 보직 변경이 됐고 그것도 몇 단계나 높은 특진이었으니 인사권자인 선조의 은혜라 할만하다.

그즈음 선조는 일본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는 생각을 가지고 내심 전쟁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었다. 그래서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등을 남해안 요충지 방어 장수로 보내게 된 것이다.

1592년 적진포해전에서 왜선 13척을 분멸(焚滅)시키고 돌아온 장군은 선조가 북쪽으로 몽진(蒙塵)했다는 소식에 깜짝 놀라 분루(憤淚)를 삼켰다. 우국충정을 그려낸 장군의 시조다.

 천보서문원(天步西門遠) 나라님 행차는 서쪽 관문으로 멀어지고
 동궁북지위(東宮北地危) 동궁 전하는 북쪽 변경에서 위험에 처해 있다
 고신우국일(孤臣憂國日) 외로운 신하는 날마다 나랏일 걱정하네
 장사수훈시(壯士樹勳時) 장사들은 공을 세울 때이다
 서해어룡동(誓海魚龍動) 바다에 맹세하니 어룡이 감동하고
 맹산초목지(盟山草木知) 산들에 맹서하니 초목이 알아준다
 수이여진멸(讐夷如盡滅) 이 원수들을 다 죽일 수 있다면
 수사부위사(雖死不爲辭) 비록 죽을지라도 사양하지 않으리

이순신은 피난 간 선조와 두 왕자의 안위를 먼저 걱정했다. 그리고 이때야말로 장수들은 죽음을 불사하고 나아가 공을 세워야 한다는 결기를 밝히고 있다. 일편단심, 선조와 두 왕자가 어서 빨리 도성으로 돌아오기를 학수고대하는 충직한 신하의 면모를 보였다.

1597년 2월 26일 선조와 이순신의 관계가 깨졌다.

“감히 변방의 장수가 왕명을 거역하다니 잡아다가 죽여야겠다.”

선조는 대로(大怒)했다. ‘의인물용(疑人勿用) 용인물의(用人勿疑)’ 즉 “의심스러운 사람은 쓰지 말고, 일단 썼으면 의심하지 마라.”는 송나라 사필(謝泌)의 말인데 선조는 이순신을 끊임없이 의심했다. 아마도 두 사람에 대한 백성들의 평가를 듣고 난 후에 얻은 자격지심 때문이었을 것이다.

삼도수군통제사에서 삭탈관직된 이순신은 3월 4일 한양으로 압송돼 의금부에 갇혔다. 3가지 죄목에 해당됐기 때문이다. 그 첫째는 조정을 속이고 임금을 무시한 죄(欺罔朝廷 無君之罪), 둘째는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막지 않은 죄(從賊不討 負國之罪), 셋째는 남의 공을 가로채고 무함(誣陷)하여 죄에 빠뜨린 한없이 방자하고 거리낌이 없는 죄(奪人之功 陷人於罪 無忌憚之罪)였다.

『선조실록』 1597년 3월 13일 기사에 잘 나타나 있다.

“(중략) 이렇게 허다한 죄상이 있고서는 법에 있어서 용서할 수 없는 것이니 율(律)을 상고하여 죽여야 마땅하다. 신하로서 임금을 속인 자는 반드시 죽이고 용서하지 않는 것이므로 지금 형벌을 끝까지 시행하여 실정을 캐어내려 하는데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대신들에게 하문하라.”

이순신이 왕명을 거역한 것은 현장 지휘관으로서 판단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중간첩 요시라(要時羅)의 말만 믿고 출동할 수는 더더욱 없는 일이었다. 요시라의 반간계(反間計)라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진나라 때 병법의 달인 황석공(黃石公)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출정하고 군대를 동원할 때는 장수가 단독으로 행해야 한다. 진퇴에 조정이 견제하면 공을 이루기 어렵다(出軍行師 將在自專 進退內御 則功難成).”고 했다.

『손자병법』의 손무(孫武)도 비슷한 말을 했다.
“전쟁의 형세가 이길 수 없으면 임금이 반드시 싸우라고 해도 싸우지 않는 것이 옳다(戰道不勝 主曰必戰 無戰可也).”

요시라의 첩보를 처음 접한 경상우병사 김응서(金應瑞)와 조정대신들은 이순신 탄핵에 열을 올렸다. 특히 윤근수(尹根壽)는 이순신을 대놓고 탓했고 대신 원균(元均)을 그 자리에 보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급기야 선조는 성균관 사성인 남이신(南以信)을 한산도로 내려 보내 진상을 파악하라고 했다. 남이신이 전라도에 도착하자, 이순신이 모함을 받고 있다면서 하소연을 하는 사람들을 만났다. 서인(西人)인 남이신은 조정에 사실대로 보고하지 않았다.

다음은 1587년(선조 20)부터 1607년(선조 40)까지 임진왜란의 전말, 극복 과정, 전후 교섭 등을 기술한 책인 『선묘중흥지(宣廟中興誌)』에 나온 기록이다.

“가등청정(加藤淸正)이 해도(海島)에서 7일 동안이나 머물러 있었는데 만일 우리 군사가 쳐들어갔더라면 청정을 잡아올 수 있었을 것인데 순신이 머뭇거려 그만 호기를 놓쳤다.”

류성룡의 『징비록』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요시라는 다시 김응서를 찾아가 ‘청정이 벌써 상륙했는데 조선에선 왜 막아서 잡지 않았는지 매우 안타까웠다.’고 하고 조정에서는 이순신을 잡아와서 국문하기를 청했다. 좌의정 김응남(金應南)도 ‘원균이 먼저 싸우러 나갔는데 순신이 구하지 않았다.’ 급기야 1월 27일 이순신을 잡아오게 하고 대신 원균을 통제사로 삼았다.”

『선조실록』 1597년 2월 4일 기사이다.

“사헌부에서 이순신은 나라에 막대한 은혜를 입어 순서를 뛰어넘어 한껏 높은 자리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온힘을 다하여 싸우지 않고 바다 가운데서 군사를 끼고 앉아 이미 다섯 해를 보냈습니다. 마침내 적이 바다를 덮고 밀려와도 길목을 지켰다거나 선봉을 막아냈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은혜를 배반하고 나라를 저버린 죄가 큽니다. 붙잡아다가 신문하고 법대로 국문하여 벌을 내려야 합니다.”

전쟁 상황 판단을 할 때 ‘왜군을 한 번도 보지도 못한’ 조정대신들의 탁상공론과 현지 지휘관의 상황 판단은 훨씬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래저래 장군은 닭이 울 때까지 잠을 못 이루는 번민의 나날을 보내야 했다.

당시 전라병마사인 원균은 저간의 돌아가는 사정을 익히 잘 알고 있었다. 원균은 1597년 1월 22일 재빨리 선조에게 ‘부산 앞바다에서 일거에 왜선을 제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서장(書狀)을 올렸다. 선조는 5일 후 1월 27일 원균을 경상우수사로 임명했다. 선조에게 눈엣가시였던 이순신은 이렇게 앓던 이가 빠진 것처럼 시원하게 제거되었다.

왜란 초기 동인으로서 이순신을 두호했던 영의정 이산해는 당시 북인의 영수가 되었고 남인 류성룡과 갈라섰다. 그런 북인 이산해와 서인 윤두수, 윤근수 형제는 원균을 엄호했다.

“나는 이순신의 사람됨을 자세히 모르지만 성품이 지혜가 적은 듯하다. 임진년 이후 한 번도 거사를 하지 않았고, 이번 일도 하늘이 준 기회를 취하지 않았으니 법을 범한 사람을 어찌 매번 용서할 것인가. (삼도수군통제사를) 원균으로 대신해야겠다.”

원균은 소원대로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고 그해 7월 16일 칠천량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궤멸되는 수모를 겪고 전사했다. 선조는 급하게 이순신을 다시 찾았다.

“그대의 직함을 갈고 그대로 하여금 백의종군하도록 하였던 것은 역시 이 사람의 모책(謀策)이 어질지 못함에서 생긴 일이었거니와 그리하여 오늘 이같이 패전의 욕됨을 만나게 된 것이라 무슨 할 말이 있으리오(尙何言哉).”

선조는 백의종군 중이던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한다는 「기복수직교서(起復授職敎書)」에서 미안감을 밝혔다. 모친 상중에 있는 이순신은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해야 했지만 선조의 명에 따라 또다시 깨지고 찢긴 몸을 추슬러 일어서야 했다. 그 이듬해 이순신은 노량해전에서 순국했다.

선조는 명군의 수장 형개(邢玠)의 권유로 남해로 내려 보낸 이순신 사제문(賜祭文)을 끝내면서 “실은 나는 그대를 버렸으나 그대는 나를 버리지 않았다. 이승, 저승 맺힌 원한을 무슨 말로 다 하리오.”라고 회한의 뜻을 비쳤다. 이순신을 그렇게 핍박했던 선조는 이승과 저승을 달리한 장군에게 마지막 애도의 뜻을 표했다.

‘아! 영웅은 외롭고 어려운 이름인가.’

<김동철 주필 약력> 
- 교육학 박사
- 이순신 인성리더십 포럼 대표
- 성결대 파이데이아 칼리지 겸임교수
- 문화체육관광부 인생멘토 1기 (부모교육, 청소년상담)
- 전 중앙일보 기자, 전 월간중앙 기획위원
- 저서 : ‘이순신이 다시 쓰는 징비록’ ‘무너진 학교’ ‘밥상머리 부모교육’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종구 2018-05-30 11:59:43
참 좋은 글~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