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칼럼] 명량대첩(鳴梁大捷) 축제탐방
[김동철칼럼] 명량대첩(鳴梁大捷) 축제탐방
  • 김동철 주필
  • 승인 2018.04.30 23:1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김동철 베이비타임즈 주필·교육학 박사 /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저자

1597년 9월 16일(양력 10월 28일) 명량해전이 일어났다. 지난 2017년에는 7주갑(420년)을 맞아 해남과 진도 사이 울돌목 일원에서는 9월 7일부터 3일 동안 명량대첩 축제가 벌어졌다.

명량대첩 해전사 기념관에는 이순신 관련 각종 유물이 전시되었고, 해남 유스호스텔에서는 전라남도이순신연구소 주최 명량대첩 7주갑 학술 심포지엄이 열렸다. 진도 쪽 녹진공원과 해남 우수영 관광지에서는 명량해전 재현 행사를 보기 위해 4만여명의 관광객이 몰려 그날의 장쾌한 승전 장면에 박수갈채를 보냈다.

이 명량축제가 지금까지도 각광을 받는 것은 이순신이 13척의 판옥선으로 133척의 일본 함대를 막아냈다는 믿을 수 없는 ‘신화(神話)’로 기억되기 때문이다. 그 신화는 이순신 장군이 중과부적의 열세를 극복하고 승리한 데 기인한다. 물목이 좁은 울돌목에 왜군은 선발대 31척을 먼저 보냈다. 그 31척이 모두 격침 또는 분멸당했다. 그리고 후방에 포진해있던 나머지 왜선 200여척은 황급히 등을 돌려 꽁무니를 뺐다.

울돌목의 한자 이름은 명량(鳴梁)이다. 울 명(鳴)에 대들보 량(梁). 명량수로는 해남군 화원반도와 진도군 군내면 사이에 있는 협수로이다. 남해에서 서해로 가는 요충지이다. 현재 진도대교가 놓여있다. 그 다리 아래에서 장군은 세계해전사상 기적(奇跡)과 같은 신화를 만들어냈다.

몇 차례 울돌목 현장을 찾은 필자는 눈과 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길이 484m의 진도대교 위를 걸으며 울돌목을 내려다보니 다리가 후들거릴 정도로 어지럽고 아찔했다. 소용돌이가 굽이쳐 흰 거품을 쏟아내며 웅웅웅 물소리를 내고 있었다. 밀물과 썰물 때 남해와 서해의 바닷물이 암초와 암벽에 부딪치면 용트림이 노도(怒濤)처럼 일어났다. 멀리 이십리 밖에서까지 ‘바다의 울음’이 들렸다고 해서 울돌이란 이름을 얻었다.

울돌목의 폭은 만조 때는 325m(수심 20m), 간조 때는 280m로 최대 유속은 10.4~11.6노트(knot, 1노트는 1.85km/h)다. 그런데 울돌목에서 양안의 암초 때문에 실제 항해 가능한 물폭은 약 120m이고 평균 유속은 9.5노트이다.

위의 자료는 국토해양부 국립해양조사원 변도성 씨가 수평 초음파 유속계를 이용하여 2009년 10월부터 6개월 동안 분석한 결과다. 당시 풍력과 인력의 힘으로 배를 움직이는 상황을 감안하면 지형지물과 자연조건을 활용하는 것은 승리의 절대적 관건이었다. 아무리 적선이 많아도 이 좁은 물목으로 오게 하면 적은 수의 전선으로 맞대응할 수 있다는 ‘외나무다리’ 전법을 이순신은 활용했던 것이다.

“1597년 9월 14일. 맑음. 북풍이 크게 불었다. 벽파(碧波) 건너편에서 연기가 올랐기에 배를 보내 실어오게 했더니 다름 아닌 탐망군관 임준영이었다. 정탐한 내용을 보고하기를, ‘적선 200여 척 중 55척이 이미 어란포에 들어왔다.’고 했다. …(중략)… 곧바로 전령선을 보내 피난민들에게 알아듣게 타이른 뒤 급히 육지로 올라가도록 하였다.”

일단 이겨놓고 싸우는 선승구전(先勝求戰) 전략은 치밀한 정보전에서 나오는 것이다. ‘적을 알고 우리를 알면 백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병가(兵家)의 지피지기(知彼知己) 백전불태(百戰不殆)를 장군은 굳게 믿고 있었다.

“1597년 9월 15일. 맑음. 밀물 때에 맞춰 장수들을 거느리고 우수영(右水營) 앞바다로 진(陣)을 옮겼다. 벽파정 뒤에는 명량(鳴梁)이 있는데, 적은 수의 수군으로 명량을 등지고 진을 쳐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중략)… 이날 밤 신인(神人)이 꿈에 나타나 말하기를 ‘이렇게 하면 크게 이기고, 이렇게 하면 패할 것’이라고 알려줬다.”

다음날 결전의 9월 16일. 예상했던 것처럼 엄청난 수의 일본 군선이 나타났다. 장군은 태산 같은 자세로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가장 먼저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동시에 부하들을 향해 다음과 같이 독려했다.

“적선이 비록 많기는 하지만 곧바로 덤벼들기는 어렵다. 조금도 흔들리지 말고 마음과 힘을 다해서 적을 쏘고 또 살아라!”

그러나 장군의 당부에도 불구하고 장수들은 공포에 떨며 도망칠 생각만 하고 있었다. 워 포비아(war phobia), 전쟁공포증이었다. 명량해전에 참가한 조선수군 대부분은 지난 7월 16일 원균의 칠천량 해전에서 거의 궤멸되다가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은 군사들이었다.

이순신이 탄 대장선이 선두에 서서 포위를 당할 판인데도 겁먹은 장수들은 1마장(약 450m) 뒤쪽에서 관망하고 있었다. 그래서 장군은 나각(螺角)을 불게하고 중군선에 명령을 내리는 대장기와 함대를 부르는 초요기(招搖旗)를 올리는 깃발신호로 적진을 향해 진격하라고 명령했다. 그제야 거제현령 안위(安衛)와 중군장(中軍將)인 미조항 첨사 김응함(金應緘)의 배가 다가왔다.

두 전선이 먼저 적진으로 쳐들어가자 적장이 휘하 배 2척에 명령을 내려 안위의 배에 개미처럼 달라붙어 앞 다투어 기어 올라가도록 했다. 이에 맞서 안위와 배위의 수군들은 사력을 다해 몽둥이와 긴 창 혹은 수마석(水磨石)으로 정신없이 적들을 찍어 내렸다.

수군들의 힘이 다해갈 무렵 장군은 뱃머리를 돌려 곧바로 들어가 빗발치듯 어지럽게 20문의 천자총통(판옥선이나 거북선에 탑재함. 사정거리 약 900보=약 1km)과 지자총통 및 불화살을 마구 쏘아 적의 배를 분멸시켰다. 검푸른 바다는 순식간에 타오르는 불꽃, 검은 연기와 함성으로 아수라장이 됐다.

좁은 물목을 가로막는 일자진(一字陣)을 편 장군이 천자총통을 작열시키자 왜군 아타케부네(安宅船)와 세키부네(關船)는 맥없이 격파됐다. 불화살을 맞은 왜선은 분멸되었고 왜군들은 추풍낙엽처럼 바다로 떨어졌다.

전투결과 조선수군 판옥선은 단 한척도 피해를 입지 않았다. 일본수군은 133척 가운데 선발대 31척이 모두 분멸 또는 수장(水葬)됐다. 왜의 후발대는 허겁지겁 퇴각했다. 왜군 1만4,000여명 가운데 해적출신 구루시마 미치후사는 사망했고 도도 다카도라는 중상을 입었다. 죽거나 다친 왜군은 8,000여명에 이르렀다. 조선수군의 완벽한 승리였다.

이날 왜수군은 오전 6시30분 정조(停潮)때 발진했다. 조선수군은 9시 밀물 때 출전했다. 10시 10분 최대 유속은 4m/s였다. 10시 30분 왜수군의 공세가 시작됐고 12시 21분 정조가 되었다. 13시 쯤 썰물, 조류가 남동류로 바뀌자 조선수군에 유리한 형세가 되었다. 이때 총공세를 폈다.

14시 40분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고 16시 30분 조류에 휩쓸린 왜수군이 후퇴하기 시작했다. 조선수군은 18시 30분 추격을 중지하고 18시 56분 다시 정조를 맞았다. 기진맥진한 조선수군은 19시에 당사도로 후진했다. 바다는 깨진 배의 잔해와 부유물로 어지러웠으나 다시 고요해졌다.

“천행천행(天幸天幸), 차실천행(此實天幸)이다.” 장군은 그렇게 일기에 적었다. 하늘이 내려준 불가사의(不可思議)한 대승(大勝)이었다는 것이다.

장군은 대승을 거뒀지만 가슴 한켠이 아리고 쓰라렸다. 그즈음 토사곽란으로 고생을 많이 한 탓이기도 하지만 고단한 지난날들이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7월 18일 백의종군으로 도원수 권율(權慄) 진영인 초계에 머무르고 있을 때 원균(元均)이 칠천량 해전에서 궤멸 당했다는 청천벽력(靑天霹靂)같은 소식을 들어야 했다. 그때 선조와 조정에서는 또다시 장군을 부랴부랴 찾았다.

장군은 교지에 사은숙배(謝恩肅拜)하고 직함 외에 아무것도 없는 통제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곧바로 길을 나섰다. 그런데 8월 15일 보성군에서 선전관 박천봉(朴天鳳)이 가져온 선조의 편지에는 “지난 칠천량 해전에서 패한 결과로 해전이 불가능할 경우 육지에 올라 도원수 권율(權慄)을 돕도록 하라.”는 명이었다. 수군폐지였다. 선조의 변화무쌍한 변심(變心)이 또 발동했다. 이에 장군은 화급히 장계를 올렸다.

금신전선 상유십이(今臣戰船 尙有十二)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전선이 있사옵니다.

전선수과(戰船雖寡) 전선의 수가 절대 부족하지만

미신불사즉(微臣不死則) 보잘 것 없은 신이 살아 있는 한

불감모아의(不敢侮我矣) 감히 적은 조선의 바다를 넘보지 못할 것입니다.

<김동철 주필 약력>

- 교육학 박사

- 이순신 인성리더십 포럼 대표

- 성결대 파이데이아 칼리지 겸임교수

- 문화체육관광부 인생멘토 1기 (부모교육, 청소년상담)

- 전 중앙일보 기자, 전 월간중앙 기획위원

- 저서 : ‘이순신이 다시 쓰는 징비록’ ‘무너진 학교’ ‘밥상머리 부모교육’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