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완전모유수유율, 국제기준보다 2.5배 ‘뻥튀기’
정부 완전모유수유율, 국제기준보다 2.5배 ‘뻥튀기’
  • 송지나
  • 승인 2017.10.16 11:3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미혁 의원 “정부 통계 44.6%는 WHO 기준과 어긋난 조사결과”보건사회연구원 조사선 18.3%…조제분유혼합 기준 바로 잡아야
▲ 자료 사진.

 


[베이비타임즈=송지나 기자] 정부가 임의적 방식으로 완전모유수유 비율을 산정해 국제기준보다 약 2.5배 ‘뻥튀기’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권미혁 의원(더불어민주당)은 16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한국의 완전모유수유율은 44.6%이지만, 이는 세계모유수유지침에서 정의하는 완전모유수유율의 개념과는 동떨어진 방식으로 조사된 결과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당시 국내 완전모유수유율 46.6%는 임산부 2명 중 1명이 신생아에게 분유가 아닌 완전모유로 영양공급을 한다는 얘기로 해석됐다.
또한 국제보건기구의 국제사회 평균 완전모유수유율(36%)보다 10%나 웃도는 수치로 국내 임산부의 모유수유 선호도가 해외보다 높다는 긍정적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권 의원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는 완전모유수유율을 ‘출생 직후부터 생후 6개월까지 모유만 먹인 비율’로 정의한다.
반면에 우리나라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15년 국민건강통계’로 발표된 국내 완전모유수유율 44.6%는 WHO의 정의와 달리 생후 6개월의 해당시점에서만 조제분유를 먹이지 않고 모유수유를 한 사람들을 완전모유수유 대상자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보건복지부의 작위적 완전모유수유율 산정은 전문기관의 실태조사에서 ‘엉터리 통계’로 입증됐다.
즉, 지난해 실시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내 모유수유 실태조사’에서 완전모유수유율 18.3%로 보건복지부의 수치와 현격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국제사회 평균 완전모유수유율(36%)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국내 임산부의 저조한 완전모유수유 사정을 드러냈다.
WHO는 완전모유수유율의 지표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영아에게 출생후 6개월까지 모유 대체품이 모유의 영양만큼 보충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WHO는 ‘유아식품의 부적절 판매 근절을 위한 지침’에서 “6개월 이전에 보충식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WHO는 세계모유수유지침에서 ‘출생 직후부터 생후 6개월까지 모유만 먹인 비율’을 완전모유수유율의 지표로 삼고 있다.
권 의원은 “그럼에도 지난 박근혜 정부의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6~2020 (HP2020)의 중점과제 모유수유실천율의 지표에서 완전모유수유율을 WHO 지침과 달리 ‘조제분유와 모유를 모두 수유하는 혼합모유수유율’을 합산한 값을 지표로 삼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의원은 “국제사회가 권고하는 모유수유지침에 맞게 HP2020의 모유수유 지표를 바로 잡고, 지표 근거인 통계방법도 수정해야 한다”면서 “동시에 모유수유율을 높이기 위한 국가의 지원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